요즘 SNS나 유튜브에서 “가족 간 50만 원 송금만 해도 증여세 폭탄 맞는다”, “8월부터 AI로 모든 계좌를 실시간 감시한다”라는 소문 많이 보셨죠? 저도 처음 들었을 때는 순간 ‘이게 진짜일까?’ 하고 깜짝 놀랐습니다.
특히 ‘가족에게 용돈을 주는 것도 위험하다’는 식의 자극적인 제목을 보면 불안해지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 소문은 사실이 아니고 과장된 내용입니다. 오늘은 국세청 공식 입장과 세무 전문가 의견을 종합해 가족 간 계좌이체와 AI 세무조사 소문의 진실을 차근차근 풀어드리겠습니다.
AI 세무조사, 정말 내 계좌를 실시간 감시할까?
최근 확산된 주장에 따르면 8월 1일부터 국세청이 AI 기반 세무조사 시스템을 도입해 모든 국민의 계좌를 실시간 감시한다는 겁니다. 거기에 가족 간 송금이 50만 원만 넘어도 세무조사 대상이 된다는 말까지 붙었죠. 하지만 국세청은 이를 명확하게 부인했습니다.
현재 AI 세무조사 시스템은 기업과 탈세 의심 거래 분석을 위한 용도이며, 일반 개인의 일상적인 계좌 거래를 실시간 감시하는 기능은 도입된 적도, 계획도 없습니다.
물론 ‘비상식적이고 반복적인 이상 거래’가 발견되면 조사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기존에도 가능했던 일이었고, 갑자기 8월부터 강화된 것도 아니죠.
가족 간 송금, 증여세 기준은 어디까지? 💸
많은 분들이 걱정하는 부분이 ‘가족 간 50만 원 송금’입니다. 현행 증여세 규정상, 직계존비속 간에는 연 1,000만 원까지, 형제자매 간에는 연 100만 원까지 비과세입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에게 매달 50만 원씩 생활비를 보내는 건 일반적인 범주에 속해 과세되지 않습니다. 다만, 형식상 생활비라고 해도 실제로는 재산 이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예외입니다. 예를 들어 자녀의 수입 전액을 저축시키고 부모가 고액 생활비를 매달 지원하는 경우에는 과세 검토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결국 핵심은 금액의 크기와 거래의 성격입니다. 단순 송금만으로 세금이 부과되지는 않지만, 고액·반복·목적이 불분명한 거래라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해의 출처, 그리고 주의해야할 경우
이번 소문의 배경에는 임광현 신임 국세청장의 발언이 있었습니다. 그는 “국세행정의 모든 영역에 AI를 도입하고 탈세 적발 시스템을 고도화하겠다”고 밝혔죠.
하지만 이 발언은 기업 중심의 탈세 분석 강화를 의미한 것이지, 개인 계좌를 전 국민 단위로 감시하겠다는 뜻이 아니었습니다. 일부 언론과 SNS 채널에서 이를 자극적으로 해석해 불안감이 커진 것입니다.
국세청이 AI든 사람이든 주목하는 건 ‘정상 범위를 벗어난 거래’입니다. 예를 들어,
-
증여세 한도를 피하려고 계좌를 나눠 송금하는 경우
-
자녀 명의로 부동산이나 금융 자산을 매입하는 경우
-
생활비 명목으로 고액 송금을 하며 자녀는 수입을 전액 저축하는 경우
또한 하루 1천만 원 이상의 현금 입출금은 고액현금거래보고제도(CTR)에 따라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자동 보고됩니다. 단, 여기서 중요한 점은 계좌이체는 해당되지 않는다는 겁니다.
결론 및 정리 📌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
AI로 전 국민 계좌 실시간 감시? → 사실 아님
-
가족 간 50만 원 송금 시 증여세 폭탄? → 일반적인 생활비 수준은 과세 대상 아님
-
AI 세무조사 시스템 도입? → 기업·탈세 혐의자 중심 고도화 중
-
상식적 거래 감시? → 대상 아님, 다만 고액·반복 거래 주의
결국, 가족 간 계좌이체는 정상적인 범위 안에서 이루어진다면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세법상 허용된 한도를 알고, 불필요하게 오해받을 수 있는 거래 패턴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